언론보도

 
 
HOME > 언론보도 > 언론보도
2015년 10월호 디지털농업-포장재 재질과 제습제가 중요하다
· 동영상


포장재 재질과 제습제가 중요하다

건조 농산물의 포장은 유통 과정에서 물리적 충격이나 부적합한 외부 환경 으로부터 품질을 최대한 유지해준다. 특히 적합한 포장재 선택과 올바른 포 장 방법을 통해 급격한 온도 변화와 습도 등을 차단하고, 상품의 보존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건조 농산물의 품질과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최적의 포장재와 포장 기술을 소개한다. 글·사진 이진랑 자료 제공 김수일포장개발연구소

포장재 수증기 차단 우수한 포장재 선택해야 건조 농산물의 상품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비닐봉지부터 플라스틱, 종이 등 다양한 포장재 가운데 품질 유지에 적합한 것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김수일포장개발연구소 김수일 소장은 “상품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포장재와 포장 기술을 이용해 외부로부터 품질을 저해하는 요인을 차단해야 한다”고말했다. 특히 건조 농산물의 변질과 부패 원인으로는 포장재를 통한 흡습이 가장 큰 문제다. 이 때문에 건조 농산물 포장재는 반드시 수분 차단성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농가에서는 말린 나물과 버섯, 말랭이 등의 포장재로 방습 성능이 떨어지는 일반 비닐봉지를 주로 활용하는 실정이다. 건표고 등에 사용하는 투명 플라스틱 용기(PE 용기)와 흔히 사용하는 지퍼백(식품 포장용 지퍼 달린봉투)은 건조 농산물을 장기간 유통하거나 진열 판매하는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포장재로 저밀도 폴리에틸렌 비닐(LDPE) 재질의 지퍼백이나 일반 채소 포장에 주로 사용하는 자체 접착형 식품용 비닐(OPP) 봉투를 사용하면 자칫 곰팡이가 발생할 수 있다. 건조 농산물에 적합한 수증기 차단성이 우수한 식품 포장재로는 PET/CPP, Ny/LDPE, OPP/CPP, 또는 OPP/VMPET/CPP, PET/AL/CPP 등 복합 재질의 래미네이트 필름이 적합하다. 참고로 래미네이트는 엷은 판을 합한다는 의미로 다른 필름과 필름을 붙여서 각각 특징을 살려 방습이나 산소 차단등의 성능을 가지도록 하는 포장재를 말한다.

크래프트·알루미늄 포장재로 고급화 요즘 백화점과 친환경 매장에서는 말린 나물이나 고구마 말랭이, 과일 칩 등을 크래프트 소재의 지퍼 스탠드 봉투에 포장해 판매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이는 겉 부분은 고급 크래프트 소재의 종이 재질에 내부는 알루미늄 원단 합지를 한 포장재로 갈변을 막고 신선도 유지에 좋다. 하지만 1장당 170~260원 선으로 가격 부담이 적지 않다.

이에 비해 비교적 저렴하면서도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살릴 수 있는 인쇄형 크래프트 봉투(PET 비닐재질, 1장당 65원)나 앞면은 비닐, 뒷면은 크래프트 재질의 포장재를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가격은 비닐 포장재 전문 업체 ‘팩플러스’ 기준)미듬영농조합법인의 박창희 제품 ?자인 실장은“인쇄형 크래프트 포장재는 크래프트 느낌을 최대한 살린 기성 봉투로 구매자가 앞면의 투명 창을 통해 상품을 볼 수 있어 구매 유도 효과 또한 크다. 주로 과일 칩과 우엉 차 등 건조 차, 잡곡 등의 포장재로 활용한다”고 말했다. 이 밖에 제품의 산패를 방지하고 신선도 유지를 위해서는 3중 특수 알루미늄 포장재를 사용하는 것도 좋다. 알루미늄 포장재(지퍼형, 150×220㎜, 1장당 120원)는 기존 비닐 포장재(지퍼형, 150×220㎜, 1장당 85원)보다 단가는 비싸지만, 빛에 의한 산화 를 막아 장기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슴 장점이 있다. 특히 일반 비닐 포장에 비해 유통기한이 6개월 이상 길어 수출용이나 마트 진열용으로 적합하다.

포장재 제작과 구입은 농가 현실에 맞게 비닐 포장재를 사용하려면 직접 제작하거나 필요할때마다 소량으로 구입하면 된다. 비닐 포장재는 첫회에 최소 2만~3만 장을 제작해야 하며, 제작 비용은 400~700만 원이다. 원하는 규격대로 직접 제작하거나, 소량 다품목을 취급하는 경우 기성 제품을구입해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박 실장은 “직접 포장재를 제작하는 것은 소규모 농가 현실에 맞지 않다. 소량의 포장재를 구입해 스티커를 별도로 부착하거나 무(無)동판 인쇄(1도 인쇄) 포장재를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다”라고 조언했다.소량의 비닐 포장재는 인터넷 검색창에 ‘은박 봉투’ 또는 ‘진공 봉투’를 검색하면 다양한 형태와 규격의 포장재를 구입할 수 있다. 봉투 형태는 투명(은박) 일반형, 투명(은박) 스탠딩, 투명(은박) 일반 지퍼, 투명(은박) 일반 지퍼 스탠딩 등이 있다.기성 포장재를 활용한 무동판 인쇄도 활용해벺 만하다.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원하는 디자인에 농장 이름이나 표시 사항 등을 인쇄해 나만의 포장재를 100장 단?로 소량 제작할 수 있다. 보통 건조 농산물 품목마다 판매 수량이 5000개 미만일 때는 무동판 인쇄 포장재를 필요할 때마다 소량 구입해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무동판 인쇄 포장재와 다양한 포장재는 팩플러스(packplus.co.kr)에서 구입하 거나 주문 제작할 수 있다. 한편 기성 포장재에 스티커를 부착할 경우 최소 제작 수량은 1000장이다. 보통 스티커에는 브랜드와 표시 사항을 넣어야 하며, 한 장에 인쇄하는 것보다 각각 따로 인쇄해 앞면과 뒷면에 부착하는 것이 상품성을 향상할 수 있다.

포장 방법 진공 포장, 산소 흡수제 ? 품질 유지 건조 농산물의 품질을 저하하는 곰팡이와 갈변, 바삭거림 저하와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포장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건조 농산물은 특히 곰팡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적절한 수분 함량(수분 활성도 0.65 이상)과 적절한 온도(상온), 포장재 내부의 산소 농도(1% 이상) 등 조건이 맞으면 순식간에 곰팡이가 번식하므로 유의해야 한다. 김 소장은 “곰팡이를 방지하려면 포장재 내부의 산소 농도를 0.5% 이하로 낮추기 위해 진공 포장을 하거나 산소 흡수제를 투입하는 방법 등이 있다”고 말했다.

갈변 현상은 농산물 건조 과정에 발생하지만, 포장 후에도 발생할 수 있다. 갈변 방지를 위해 포장재 내부의 산소 농도를 최대한 낮춰야 하는데, 진공 포장을 하거나 산소 흡수제를 투입해 해결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진공에 의해 파손되지 않는 건조 농산물만 가능하며, 이때 진공 포장지(Ny/LDPE) 재질을 사용해야 한다. 산소 흡수제를 사용하는 경우 포장재의 산소 투과도가 10㏄/㎡·24hr 이하 재질을 선택 해 야 하 며 , OPP/VMPET/CPP, Ny/LDPE, PET/AL/CPP 등을 사용하면 된다. 특히 흡습에 의해 수분 함량이 증가하면 과일 칩등의 조직감(바삭거림)이 저하되기 마련이다. 주로 포장재의 수분 차단성이 부족하거나 포장재의 밀봉상태가 완벽하지 않을 때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분 차단성이 높은 포장 재질을 선택해야 하며, 필요할 경우 방습제를 사용해 최대한 억제해야 한다.건조 농산물의 파손 방지를 위해서는 포장재 내부에 트레이(용기)를 사용하거나 공?를 채워 파손 을 방지할 수 있다. 트레이를 자체 개발할 경우 금형제작 비용으로만 약 400만 원이나 투자해야 한다. 따라서 트레이는 기성품 중에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며 ‘일회용 플라스틱 용기’로 검색하면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소비 시장 포장 트렌드, 고급화와 편의성 추구 최근 소비 시장의 포장 트렌드는 디자인을 고급화하거나 편의성을 강화한 포장재가 주를 이룬다. 또한 건조 농산물도 소비 트렌드를 반영해 한 번 먹을 분량의 소포장 단위(50g) 상품이 느는 추세다. 소포장으로 인해 비용은 증가할 수 있지만, 편의성과 상품성이 향상돼 소비자들의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신세계백화점은 고급 포장재에 레시피가 적힌 고사리, 토란 줄기, 유채 나물, 곤드레, 취나물, 고구마줄기 등 건나물 10종을 선보? 눈길을 끌었다.

신세계백화점 측은 건나물 포장에 변화를 준 결과 중장년층뿐 아니라 젊은 주부 고객의 구매가 늘고 있어 매출 증가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하지만 소규모건조 농산물 생산 농가는 대형 할인점이나 백화점의포장 방식과는 차이가 있어야 한다. 상품성과 고급화만 고려해 현실성이 떨어지는 고가의 포장재를 선택할 경우 농가 수익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문의 김수일포장개발연구소(010-4906-4688) ‘미듬영농조합법인’ 박창희 제품 디자인 실장의 ‘포장재 활용법’ 제안 제안1> 공용 비닐 포장재를 제작? 제품별로 스티커를 활용한다.

고급 크래프트 포장재는 단가가 비싸 제품 가격에 영향을 미친다. 비닐에 크래프트 효과가 나도록 인쇄한 공용 봉투를 제작한 후 제품별로 스티커를 붙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 제안2> 투명, 반투명의 기성 비닐봉지에 1~2도 무동판 인쇄를 한다.

상품 스티커 비용을 절감하는 방법이다. 초록색ㆍ빨간색ㆍ검은색 등 제품에 맞는 색을 선택해 로고와 브랜드(BI), 품질 표시를 부담 없는 가격에 인쇄할 수 있다.

< 제안3> 알루미늄(은박) 원단을 합지한 차단성 뛰어난 봉투를 활용한다.

일반 비닐봉지와 크래프트 포장재는 보존력이 떨어지는 것이 단점이다. 특히 비닐 포장재는 햇빛과 열기가 투과되므로 장기 유통에는 적합하지 않다. 마트 등에 6개월 이상 진열 판매할 경우 보존력이 뛰어난 알루미늄 포장재(은박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구계1길 26
Tel. 054-833-4686 | Fax. 054-833-4683
개인정보 관리 책임자 : 김수일 suilssi@naver.com
사업자번호 788-88-01131 | 상호 : 김수일포장연구소주식회사
  Copyright ⓒ HDWEB All rights reserved.